분류 전체보기149 자바 증감연산자 ++ int x = 1; int y = ++x; System.out.pirntln(y); -> x에 1을 증가시키고 y에 넣어서 2가 출력 ( x는 2 ) int x = 1; int y = x++; System.out.println(y); -> x를 y에 넣고나서 1을 증가시켜서 y는 1로 출력 ( x는 2 ) 증감연산자 ++ 나 -- 가 피연산자의 앞에 붙는다면 먼저 증감을 하고 좌측의 변수에 대입 뒤에 붙는다면 피연산자를 먼저 좌측의 변수에 대입하고 피연산자만 증감된다. 피연산자는 무조건 증감되고 좌측의 변수는 증감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짐 2020. 10. 13. If 조건문 If (조건) { } If (조건) { } -> 조건이 둘 다 만족하면 둘 다 실행 -> 반복문에서 사용 시, 첫번째 if 문이 실행되어도 두번째 if 문을 따져보고 난 후 반복문의 시작으로 올라간다. If (조건) { } else If (조건) { } -> 조건이 둘 다 만족하더라도 하나만 실행 -> 반복문에서 사용 시, 첫번째 if 문이 실행되면 else if는 따져보지 않고 다시 반복문의 시작으로 올라간다. if (조건) { } if (조건) { } else { } -> 첫번째 if 문을 따져보고 실행되든 아니든, 두번째 if 문을 따져본다. 두번째 if 문이 실행되면 else는 보지 않고 두번째 if 문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else를 실행. 2020. 10. 13. 자바 단축키, 명령어 코딩은 작은 단위 쉬운 단위부터. Ctrl + S (저장) Ctrl + Shift + F (줄정렬) 습관들이기. 자바 단축키 자바 단축키 Ctrl + Shift + F : 줄정렬 자바 단축키 Ctrl + Shift + O : 외부에서 구조 불러오기 Ctrl + Space : 명령어 불러오기 println : 한줄 띄움, printf : 안 띄움 System.out : 모니터로 출력, System.in : 키보드로 입력받는 값 2020. 10. 12. 자바 Switch문 Switch 문에서 사용하는 키워드 Switch, case, default, break Switch (변수) { case1: case2: default: } 변수에 해당하는 case부터 실행 break를 쓰지 않으면 끝까지 실행 if문처럼 사용하려면 case마다 break 써줄 것 예시) int value = 1; switch (value) { case 1 : System.out.println("1"); break; case 2 : System.out.println("2"); break; case 3 : System.out.println("3"); break; default : System.out.println("그 외의 숫자"); } value의 값이 1이면 case 1 실행, value의 값이 2이면.. 2020. 10. 12. Git 명령어 Git 명령어 git 로그인 정보 없애기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manager git credential-manager delete https://github.com git 로컬 리포지터리 생성 git init git 원격 저장소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주소 git 원격 저장소와 연결 삭제 git remote remove origin git 커밋할 파일 장바구니에 담기(전부담기) git add . git 커밋할 파일 장바구니에 담기 git add 경로명 git 장바구니에서 빼기 git reset HEAD . git 커밋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git 푸시 git push origin master git 상태 git.. 2020. 10. 12. 이전 1 ··· 22 23 24 25 다음